<--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 설레임 설렘 맞춤법 구분하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레임 설렘 맞춤법 구분하기

by                         2017. 9. 4.
반응형

 

설레임 설렘 맞춤법 구분하기

 

우리말 바로 쓰기를 적극적으로 행동에 옮기고 있는 무민e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단어는 설레임 설렘 맞춤법 구분인데요. 실제로 설렘과 설레임을 햇갈려 두 단어를 모두 사용하거나 심지어는 설렘도 맞고 설레임도 맞다 등의 각 종 의견과 추측이 난무한데요.

 



사실 설레임과 설렘 둘 중 하나는 표준어로 지정이 되어 있지 않은 지어진 말이며, 다른 하나는 표준어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과연 어떤 단어가 올바른 표현법일지 오늘 알려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항상 올바른 단어만을 사용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국어를 못배우고 잘배우고를 떠나서 살다보면 자기만의 생각과 판단에 의해 표준어지만 아닌 것 처럼 혹은 표준어가 아닌데 맞는 것 처럼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최대한 표준어를 사용해 우리말 바로 쓰기를 실천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글을 만들어주신 세종대왕님을 대하는 최소한의 예의일수도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시작하겠습니다.

설레임 설렘 둘 중 올바른 표현은?

맞는 말과 틀린 말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서두에서 말씀드렸듯이 하나는 표준어이고, 하나는 표준어가 아니기 때문이죠. 제가 질문을 드려보겠습니다. 한 번 맞춰보세요.

 

Q) '나 어제 마트갔다가 처음 본 남자한테 설레임을 느꼈어'와 '나 어제 마트갔다가 처음 본 남자한테 설렘을 느꼈어' 둘 중 바르게 표현된 문장은 어느 것 일까요? 정답은 후자인 '나 어제 마트갔다가 처음 본 남자한테 설렘을 느꼈어'입니다.

 

문제 하나 더 드려보겠습니다.

 

 

Q) '기대감과 설레임을 가득 안고 집에서 나온 첫 대학 등교길'과 '기대감과 설렘을 가득 안고 집에서 나온 첫 대학 등교길' 둘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문장의 구조가 조금 이상할 순 있어요. 제가 임의로 만든 문제입니다. 이해해주세요) 정답은 후자인 '기대감과 설렘을 가득 안고 집에서 나온 첫 대학 등교길'이 맞습니다.

 

네 여기서 느끼셨을 텐데요. 설레임이 아닌 설렘이 우리나라가 지정한 표준어입니다.

 


설렘 뜻

◎ 설렘은 원래 '들떠서 두근거리다'라는 뜻에서 나온 표준어 '설레다'의 어간인 '설레-'뒤에 + 어미 'ㅁ'이 붙어 '설렘'의 형태로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설레이다'와 '설레다' 중 표준어는 당연히 '설레다'입니다. '설레이다'라는 말은 표준어가 아니며, '설레임'은 '설레이다'로부터 파생된 단어입니다. 하지만 '설레임'과 '설레이다' 둘 다 우리나라 표준어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아래 예문을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놀이동산이 가까워 옴에 따라 설렘과 호기심이 더해 갔다'라는 말과 '놀이동산이 가까워 옴에 따라 설레임과 호기심이 더해 갔다'라는 말 중에 맞는 말은 당연히 '설렘'을 사용한 문장이 맞습니다.

 

 

두 번째 예문, '소개받은 그녀를 만나러 갈 때의 설렘을 다시 한 번 떠올려 보았다'와 '소개받은 그녀를 만나러 갈 때의 설레임을 다시 한 번 떠올려 보았다' 둘 중 당연히 '설렘' 단어를 사용한 문장이 맞습니다.

 

 

사실 시중에 나온 책 중에서도 설렘이 아닌 설레임을 사용한 책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설레임이 무조건 틀렸다라고 단정짓는 분위기는 아닌 것 같더군요. 설레이다와 설레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우리는 올바른 표준어가 설레다와 설렘이라는 것을 꼭 명심하고 있어야 합니다.

예문

○ 나는 아버지가 들고 오신 선물상자에 설렘을 감출 수 없었다.

○ 남자친구를 기다릴 때와 같은 감미로운 설렘이 조금도 섞이지 않은 기다림은 나로서는 처음이다.

○ 가슴은 기쁨으로 한없이 설레고, 춤이 저절로 나왔다.

○ 그 영화는 언제 봐도 가슴을 설레게 한다.

○ 그를 보자 내 마음이 설레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설레임 설렘 그리고 설레이다 설레다 맞춤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봤습니다. 바른 말 고운 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런 사소한 것부터 올바르게 잡는다면 언젠가 우리나라 사람들도 모두 올바른 표준어를 쓰는 날이 올거라 믿습니다. 아 참고로 설렘과 설레임은 글을 작성할 때 뿐만 아니라 실제로 발음 소리에서도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그러므로 꼭 표준어 사용을 하셔야겠죠!?

 

반응형

댓글